출혈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강남성모원안과
작성일 22-06-02 13:33
작성일 22-06-02 13:33
본문
출혈이번 글에서는 충혈과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출혈을 설명하려고 한다. 충혈과 출혈은 모두 눈을 붉게 만들지만 그 성질은 전혀 다르다. 충혈은 혈관이 늘어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면, 출혈은 혈관 벽이 깨지면서 주변 조직으로 혈류가 흘려 내려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충혈은 원인이 대부분 염증이고, 충혈 발생 위치에 따른 병의 위험도에 대해서는 지난 두 번에 걸쳐 언급하였듯이 섬모체 충혈이 있으면 시력에 위협을 주는 위험한 충혈이다.
출혈은 혈관 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혈관이 찢어지면서 혈액에 의한 핏물이 생기는 것이다. 출혈은 어떤 물건에 부딪치면 부딪힌 부위 살 속의 혈관이 찢어지면서 검게 보이는 ‘멍’ 이라는 현상과 비슷하다. 피부에 멍드는 현상이 나이가 들면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도 나이가 들면서 약해진 혈관 벽에 강한 자극에 의해서 출혈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출혈이 발생하는 기전은 기존의 혈관 벽이 약해져서 찢어지는 현상과 다양한 안질환의 생태병리학적 진행과정에서 만들어진 신생혈관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크게 나눠진다.
1) 혈관벽 약화로 인한 출혈 ; 결막하 출혈, 유리체 강내 출혈
태어나면서 가지고 있었던 혈관이 찢어지거나 터져서 피가 주변에 흘러 나오는 현상이다. 혈관은 나이가 들면서 여러 가지 침전물이 침착되면서 혈관 벽은 단단해지고 탄력성이 없어지면서 약해진다. 혈관이 휘어지는 곳이나 꺾이는 곳에 혈압이 상승되거나, 기침 또는 눈을 비비는 등의 자극으로 혈관 벽이 깨지면서 발생한다. 기존 혈관이 찢어져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예로 결막하 출혈이 있다. 나이가 들면서 재채기를 하거나 눈을 비빌 때 결막혈관이 갑자기 찢어지면서 눈이 빨갛게 되어 깜짝 놀라 응급실을 찾곤 한다. 한 번 출혈이 있었던 혈관은 조그만 자극에 의해서도 출혈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 결막하 출혈은 통증도 없고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놀라움만 줄 뿐이다.
눈 속에서 일어나는 가장 흔한 출혈은 당뇨병 등에 의한 유리체 강내 출혈이다. 당뇨 등에 의해 망막 혈관이 약해지면 혈관 벽이 찢어지면서 유리체 강내에 출혈이 발생하고 시력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저절로 흡수될 수도 있지만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수술을 해야할 수도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태어난 혈관이 찢어지는 것을 실제로 막는 방법은 없지만 평소에 혈관을 튼튼하게 해야 한다. 유산소 운동을 통해 고지혈증 등을 막고 혈압을 조절하거나, 혈관 벽을 자극하는 동작을 피해야 한다.
2) 신생혈관의 출혈
신생혈관은 우리가 태어나면서 가지고 있는 혈관과는 차이가 있다. 조직에 병변이 생기면 그 부위가 저산소증에 빠지면서 신생혈관이 발생한다. 신생혈관은 산소 소비가 많이 필요한 조직인 망막, 각막, 섬유주 등에서 쉽게 발생한다. 신생혈관은 현대 의학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되고 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못하는 난제이다. 신생 혈관이 발생하는 이유는 산소 소비가 왕성한 조직에 병이 발생하면서 조직이 변하면서(변성) 신생혈관이 만들어진다. 변성된 조직에 발생하는 혈관은 기존 혈관과는 다른 신생혈관이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암과 같은 비정상적인 조직이 만들어질 때 신생혈관이 많이 발생한다. 신생혈관은 산소 소모도가 많은 어느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신생혈관은 태어날 때 만들어진 혈관과는 다르게 혈관 벽의 취약점이 있어 쉽게 출혈을 만든다.
3) 신생혈관과 관계가 있는 질환
각막분야에서, 각막염과 동반된 신생혈관은 각막이식한 부위 안에서 거부반응을 잘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녹내장의 말기 현상인 섬유주 저산소증에 의한 신생혈관성 녹내장은 시력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다. 망막 분야에서 동정맥 폐쇄 망막증, 당뇨 망막병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등은 망막의 저산소증에 의해서 생긴 신생혈관이 부위 조직의 부종을 유발하여 시력 장애를 일으키며, 시세포를 파괴하여 실명에 이르게 한다. 각각의 예를 일일이 자세히 설명할 수는 없지만 신생혈관에 의한 병변은 시력 장애를 가져오므로 안과에서 매우 심각하게 다루는 질환들이다. 신생혈관의 치료는 신생혈관은 병의 생태 병리 현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발생하는 원인이 제거되어야만 가장 효과적이다. 비정상적인 조직에 의해서 발생하는 저산소증을 없애고, 레이저, 신생혈관 발생인자 등을 억제하는 약물 등으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다. 최근에는 황반부 변성 등에서 신생혈관에 의해 발생한 부종을 anti VEGF(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등의 주사를 통해서 효과를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혈은 염증 등으로 인한 혈관확장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 반면, 출혈은 혈관벽이 찢어지거나 신생혈관벽이 쉽게 누수가 일어나서 피가 주위 조직으로 흘러내려 일어나는 현상이다. 출혈은 빛이 지나가는 시축에 있거나, 출혈 주위 조직의 부종 및 세포의 손상을 가져올 경우 시력 장애를 일으킨다. 출혈 의 치료 방법으로는 출생 시 가지고 있던 혈관의 지질 축적 방지, 혈압 조절, 혈관 벽에 물리적 자극 등을 피하는 것 등이 있다. 신생혈관은 저산소증을 방지하고 레이저 치료 등으로 비정상적인 조직에 의해서 발생하는 저산소증을 없앰으로써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발생한 부종에 anti VEGF(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등의 주사 치료를 통해서 효과를 보고 있다.
출혈은 혈관 벽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혈관이 찢어지면서 혈액에 의한 핏물이 생기는 것이다. 출혈은 어떤 물건에 부딪치면 부딪힌 부위 살 속의 혈관이 찢어지면서 검게 보이는 ‘멍’ 이라는 현상과 비슷하다. 피부에 멍드는 현상이 나이가 들면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도 나이가 들면서 약해진 혈관 벽에 강한 자극에 의해서 출혈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출혈이 발생하는 기전은 기존의 혈관 벽이 약해져서 찢어지는 현상과 다양한 안질환의 생태병리학적 진행과정에서 만들어진 신생혈관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크게 나눠진다.
1) 혈관벽 약화로 인한 출혈 ; 결막하 출혈, 유리체 강내 출혈
태어나면서 가지고 있었던 혈관이 찢어지거나 터져서 피가 주변에 흘러 나오는 현상이다. 혈관은 나이가 들면서 여러 가지 침전물이 침착되면서 혈관 벽은 단단해지고 탄력성이 없어지면서 약해진다. 혈관이 휘어지는 곳이나 꺾이는 곳에 혈압이 상승되거나, 기침 또는 눈을 비비는 등의 자극으로 혈관 벽이 깨지면서 발생한다. 기존 혈관이 찢어져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예로 결막하 출혈이 있다. 나이가 들면서 재채기를 하거나 눈을 비빌 때 결막혈관이 갑자기 찢어지면서 눈이 빨갛게 되어 깜짝 놀라 응급실을 찾곤 한다. 한 번 출혈이 있었던 혈관은 조그만 자극에 의해서도 출혈이 다시 일어날 수 있다. 결막하 출혈은 통증도 없고 시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놀라움만 줄 뿐이다.
눈 속에서 일어나는 가장 흔한 출혈은 당뇨병 등에 의한 유리체 강내 출혈이다. 당뇨 등에 의해 망막 혈관이 약해지면 혈관 벽이 찢어지면서 유리체 강내에 출혈이 발생하고 시력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 저절로 흡수될 수도 있지만 3개월 이상 지속되면 수술을 해야할 수도 있다. 치료를 위해서는, 태어난 혈관이 찢어지는 것을 실제로 막는 방법은 없지만 평소에 혈관을 튼튼하게 해야 한다. 유산소 운동을 통해 고지혈증 등을 막고 혈압을 조절하거나, 혈관 벽을 자극하는 동작을 피해야 한다.
2) 신생혈관의 출혈
신생혈관은 우리가 태어나면서 가지고 있는 혈관과는 차이가 있다. 조직에 병변이 생기면 그 부위가 저산소증에 빠지면서 신생혈관이 발생한다. 신생혈관은 산소 소비가 많이 필요한 조직인 망막, 각막, 섬유주 등에서 쉽게 발생한다. 신생혈관은 현대 의학에서 가장 연구가 많이 되고 있지만 아직도 해결되지 못하는 난제이다. 신생 혈관이 발생하는 이유는 산소 소비가 왕성한 조직에 병이 발생하면서 조직이 변하면서(변성) 신생혈관이 만들어진다. 변성된 조직에 발생하는 혈관은 기존 혈관과는 다른 신생혈관이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예가 암과 같은 비정상적인 조직이 만들어질 때 신생혈관이 많이 발생한다. 신생혈관은 산소 소모도가 많은 어느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신생혈관은 태어날 때 만들어진 혈관과는 다르게 혈관 벽의 취약점이 있어 쉽게 출혈을 만든다.
3) 신생혈관과 관계가 있는 질환
각막분야에서, 각막염과 동반된 신생혈관은 각막이식한 부위 안에서 거부반응을 잘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녹내장의 말기 현상인 섬유주 저산소증에 의한 신생혈관성 녹내장은 시력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다. 망막 분야에서 동정맥 폐쇄 망막증, 당뇨 망막병증, 연령관련 황반변성 등은 망막의 저산소증에 의해서 생긴 신생혈관이 부위 조직의 부종을 유발하여 시력 장애를 일으키며, 시세포를 파괴하여 실명에 이르게 한다. 각각의 예를 일일이 자세히 설명할 수는 없지만 신생혈관에 의한 병변은 시력 장애를 가져오므로 안과에서 매우 심각하게 다루는 질환들이다. 신생혈관의 치료는 신생혈관은 병의 생태 병리 현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발생하는 원인이 제거되어야만 가장 효과적이다. 비정상적인 조직에 의해서 발생하는 저산소증을 없애고, 레이저, 신생혈관 발생인자 등을 억제하는 약물 등으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이다. 최근에는 황반부 변성 등에서 신생혈관에 의해 발생한 부종을 anti VEGF(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등의 주사를 통해서 효과를 보고 있다.
결론적으로 충혈은 염증 등으로 인한 혈관확장 때문에 발생하는 것인 반면, 출혈은 혈관벽이 찢어지거나 신생혈관벽이 쉽게 누수가 일어나서 피가 주위 조직으로 흘러내려 일어나는 현상이다. 출혈은 빛이 지나가는 시축에 있거나, 출혈 주위 조직의 부종 및 세포의 손상을 가져올 경우 시력 장애를 일으킨다. 출혈 의 치료 방법으로는 출생 시 가지고 있던 혈관의 지질 축적 방지, 혈압 조절, 혈관 벽에 물리적 자극 등을 피하는 것 등이 있다. 신생혈관은 저산소증을 방지하고 레이저 치료 등으로 비정상적인 조직에 의해서 발생하는 저산소증을 없앰으로써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발생한 부종에 anti VEGF(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등의 주사 치료를 통해서 효과를 보고 있다.